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
알림마당

방사능 감시

원자력안전위원회는 먼 바다(연안에서 300km까지)의 해수와 해양생물, 해양퇴적물 시료를 주기적으로 채취해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.

해수 방사능 분석
  • 연안에서 300km까지 해역에서 78개 조사 정점에 대해 주기적으로 시료를 채취·분석한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.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해수 방사능 감시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오고 있으며, 조사 정점도 확대하고 있습니다.

조사정점: (’21년) 32개 → (’22년) 34개 → (’23년 상반기) 40개 → (’23년 하반기) 73개 → ('24년) 78개

해수방사능 분석지점 일반정점 해수(34개) 강화정점 해수(6개)
해수 감시내용

해양환경방사능 감시내용(구분, 감시대상, 감시시기, 분석항목, 정점수) 표

구분 감시대상 감시시기 분석항목 정점수
해수 표층해수 연 6회* 137Cs 40
매분기 3H 40
월 2회 137Cs, 134Cs, 3H 38
연 1회 239+240Pu, 240Pu/239Pu 22
연 1회 90Sr 16
수심별 해수 반기 137Cs 6
연 1회 3H 6
연 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
* 제주남방해역 4개 정점(314-03, 314-08, 315-13, 315-18)월 2회 조사, 울릉도 부근 해역 2개 정점 (104-11, 105-11)은 월 1회 조사, 그 외 정점은 연 6회 조사

해양생물 방사능 분석
  • 어류(최대 80개 정점), 패류(최대 7개 정점), 해조류(최대 7개 정점) 등 해양생물 시료를 주기적으로 채취·분석해 세슘137, 포타슘40, 스트론튬90, 플루토늄239 및 플루토늄240 등 방사능 물질의 농도를 공개하고 있습니다.
해양생물 감시내용

해양환경방사능 감시내용(구분, 감시대상, 감시시기, 분석항목, 정점수) 표

구분 감시대상 감시시기 분석항목 정점수
해양생물 어류 반기 137Cs, 40K 80
연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패류 반기 137Cs, 40K 7
연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해조류 반기 137Cs, 40K, 131I 7
연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3
해양퇴적물 방사능 분석
  • 15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저퇴적물(0~5cm) 시료에 대해서는 세슘137, 포타슘40의 농도를 분석해 공개하고 있습니다.
해양퇴적물 감시내용

해양환경방사능 감시내용(구분, 감시대상, 감시시기, 분석항목, 정점수) 표

구분 감시대상 감시시기 분석항목 정점수
퇴적물 해저퇴적물
0~5㎝
연1회 137Cs, 40K 15
연1회 90Sr, 239+240Pu, 240Pu/239Pu 6
해양환경방사능 조사보고서
  • 매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환경방사능 준위분포 및 변동 추이를 조사한 결과를 종합해 조사보고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방사선 사고로부터 우리 주변 해역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을 판단하고, 이를 통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환경을 보전하고자 합니다.